서브메뉴
검색
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 = The light of Baekje, stone lanterns of Mireuksa temple
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 = The light of Baekje, stone lanterns of Mireuksa temple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9074449 93620 : \38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요약문언어 - eng
- 국립중앙청구기호
- 549.22-22-7
- KDC
- 549.22-6
- DDC
- 726.143-23
- 청구기호
- 549.22 국298백
- 서명/저자
- 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 = The light of Baekje, stone lanterns of Mireuksa temple / 국립익산박물관 [편] , 원고: 류승진 , 유물 촬영: 남기용 , 전시실 촬영: 주병수 , 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통번역센터
- 발행사항
- 익산 : 국립익산박물관, 2021
- 형태사항
- 223 p. : 천연색삽화 ; 19 x 26 cm
- 일반주제명
- 석등[石燈]
- 일반주제명
- 고임돌
- 일반주제명
- 사원 유적[寺院遺蹟]
- 주제명-지명
- 백제(국명)[百濟]
- 기타저자
- 류승진
- 기타저자
- 남기용
- 기타저자
- 주병수
- 기타저자
- 국립익산박물관
- 기타저자
-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센터
- Control Number
- kjul:60272150
- 책소개
-
익산 미륵사는 7세기 전반 무왕 때 세워진 백제에서 가장 큰 절이다. 이제 당시의 건물은 모두 사라지고, 석탑과 당간지주만으로 옛 모습을 짐작해 볼 뿐인데, 금당과 탑 사이에는 창건기 석등의 일부로 추정되는 돌이 여러 개 남아 있다. 이 중에는 서로 같은 모양, 비슷한 크기의 화사석 3점이 포함되어 있어, 창건기 미륵사에 적어도 3기 이상의 석등이 존재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석등의 대부분은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되어 이보다 이른 삼국시대 석등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익산 미륵사의 석등이 유일하다.
이에 국립익산박물관은 미륵사지의 석등 조각 13점을 모두 모아 3차원 실측 조사를 하고 디지털로 복원하여 창건기 미륵사 석등의 모습을 재현하는 특별전 〈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2021. 10. 19. ~ 2022. 2. 13.)을 개최하였다. 이 책은 최신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백제의 미륵사에서 빛나던 석등을 소개하고 재현하는 특별전 도록이다. 비록 대부분의 조각이 원래의 형태를 알 수 없게 깨져 있거나, 원래의 위치를 벗어난 곳에서 발견되었기에 복원안은 추정의 범위를 넘을 수 없지만, 우리나라 석등의 시원始原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MARC
008220729s2021 jbka 000c korOO■020 ▼a9791189074449▼g93620▼c\38000
■035 ▼a(KERIS)BIB000016072568
■0410 ▼akor▼beng
■05201▼a549.22▼b22-7
■056 ▼a549.22▼26
■082 ▼a726.143▼223
■090 ▼a549.22▼b국298백
■24500▼a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 ▼xThe light of Baekje, stone lanterns of Mireuksa temple▼d국립익산박물관 [편] ▼e원고: 류승진 ▼e유물 촬영: 남기용 ▼e전시실 촬영: 주병수 ▼e번역: 한국외국어대학교통번역센터
■260 ▼a익산▼b국립익산박물관▼c2021
■300 ▼a223 p. ▼b천연색삽화▼c19 x 26 cm
■546 ▼a영어 요약 있음 ; 일부 漢韓대역임
■585 ▼a전시: "백제의 빛, 미륵사 석등", 국립익산박물관 기획전시실, 2021. 10. 19(화) - 2022. 2. 13(일)
■650 8▼a석등[石燈]▼2NLSH▼0KSH1998027552
■650 8▼a고임돌▼2NLSH▼0KSH2000007158
■650 8▼a사원 유적[寺院遺蹟]▼2NLSH▼0KSH2000030940
■651 8▼a백제(국명)[百濟]▼2NLSH▼0KSH1998031661
■7001 ▼a류승진
■7001 ▼a남기용
■7001 ▼a주병수▼0KAC201517312
■710 ▼a국립익산박물관▼0KAB202000032
■710 ▼a한국외국어대학교▼b통번역센터▼0KAB201800170
■880 ▼aIksan▼bGungnip Iksan Bangmulgwan▼c2021
■880 ▼aGungnip Iksan Bangmulgwan
■880 ▼aHanguk Oegugeo Daehakgyo.▼bTongbeonyeok Senteo
■88000▼aBaekje ui bit, Mireuksa seokdeung
■8801 ▼aRyu, Seungjin
■8801 ▼aNam, Giyong
■8801 ▼aJu, Byeongs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