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다국어 요리백과)행복반찬
(다국어 요리백과)행복반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6824818 : \17000
 
- 청구기호
 - 594.51 청66해행
 
- 단체저자
 - 청원군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 서명/저자
 - (다국어 요리백과)행복반찬 / 청원군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엮음.
 
- 발행사항
 - 파주 : 이담북스, 2011.
 
- 형태사항
 - 157 p. : 채색삽화 ; 26 cm.
 
- 총서명
 - 어울누리 생활현장 ; 03
 
- 주기사항
 - 번역·감수: 충북대학교 국어문화원
 
- 초록/해제
 - 요약5개국어로 소개하는 행복한 다문화 요리 소통 한국어ㆍ일본어ㆍ중국어ㆍ몽골어ㆍ베트남어 병기 사람과 친숙해지는 가장 좋은 소통법은 음식을 함께 나누는 일이다. 그만큼 음식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은 대부분 한국 사회 적응의 어려움으로 음식문화를 꼽는다. 부족한 한국음식 솜씨에서 이어지는 문화 부적응은 가족관계의 큰 갈등 요인으로 작용한다. 나아가 한국어가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어로 된 요리책을 따라하며 겪는 어려움은 당사자가 아니면 알 수 없을 고충이다. 『다국어 요리백과 행복반찬』은 이러한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출간되었다. 한국의 요리법을 결혼이주여성들의 5개 국어 로 수록한 이 책은 음식의 이질감에서 오는 그들의 부적응을 최소화하는 데 일조한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로 나누어 각 계절에 맞는 요리법을 구성해 편의를 도모한 것도 큰 장점이다. 매우 쉬운 반찬 조리법부터 손님 접대에 어울릴 만한 요리까지, 다문화가정 주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으며, 가족 건강에 꼭 필요한 식생활 지식까지 두루 일러주어 원활한 음식문화, 나아가 이주여성의 한국문화 정착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 일반주제명
 - 한국 요리[韓國料理]
 
- 일반주제명
 - 반찬[飯饌]
 
- 일반주제명
 - 조리법[調理法]
 
- Control Number
 - kjul:60193916
 
- 책소개
 - 
다문화가정을 위한 반찬과 한식요리 레시피!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국어 요리백과 『행복반찬』. 음식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결혼이민여성들이 실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국어를 포함한 일본어,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등 5개국어로 일상적인 반찬 종류와 한식요리를 친근하게 소개하고 있다. 사계절로 나누어 각 계절에 맞는 요리법을 제공하고, 쉬운 반찬 조리법부터 손님 접대에 어울릴 만한 요리까지 다양하게 담아 다문화가정 주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가족 건강에 꼭 필요한 식생활 지식까지 두루 소개하며 원활한 음식문화, 나아가 이주여성의 한국문화 정착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MARC
008181025s2011 ggka 000c kor■020 ▼a9788926824818▼c\17000
■035 ▼a(KERIS)BIB000013188192
■090 ▼a594.51▼b청66해행
■110 ▼a청원군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24520▼a(다국어 요리백과)행복반찬▼d청원군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엮음.
■260 ▼a파주▼b이담북스▼c2011.
■300 ▼a157 p. ▼b채색삽화▼c26 cm.
■44000▼a어울누리 생활현장 ▼v03
■500 ▼a번역·감수: 충북대학교 국어문화원
■520 ▼a5개국어로 소개하는 행복한 다문화 요리 소통 한국어ㆍ일본어ㆍ중국어ㆍ몽골어ㆍ베트남어 병기 사람과 친숙해지는 가장 좋은 소통법은 음식을 함께 나누는 일이다. 그만큼 음식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은 대부분 한국 사회 적응의 어려움으로 음식문화를 꼽는다. 부족한 한국음식 솜씨에서 이어지는 문화 부적응은 가족관계의 큰 갈등 요인으로 작용한다. 나아가 한국어가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어로 된 요리책을 따라하며 겪는 어려움은 당사자가 아니면 알 수 없을 고충이다. 『다국어 요리백과 행복반찬』은 이러한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출간되었다. 한국의 요리법을 결혼이주여성들의 5개 국어 로 수록한 이 책은 음식의 이질감에서 오는 그들의 부적응을 최소화하는 데 일조한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로 나누어 각 계절에 맞는 요리법을 구성해 편의를 도모한 것도 큰 장점이다. 매우 쉬운 반찬 조리법부터 손님 접대에 어울릴 만한 요리까지, 다문화가정 주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으며, 가족 건강에 꼭 필요한 식생활 지식까지 두루 일러주어 원활한 음식문화, 나아가 이주여성의 한국문화 정착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
■650 8▼a한국 요리[韓國料理]
■650 8▼a반찬[飯饌]
■650 8▼a조리법[調理法]
■653 ▼a다문화가정▼a한국요리백과▼a반찬조리법▼a이주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