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2463514 : \20000
- 청구기호
- 910.025 국298부북
- 단체저자
- 국립전주박물관
- 서명/저자
-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 국립전주박물관 [편].
- 발행사항
- 서울 : 주류성, 2018.
- 형태사항
- 271 p. : 삽화 ; 27 cm.
- 주기사항
- 설명적 각주 수록
- 주기사항
- 공저자: 강인욱, 곽진석, 이평래, 이건욱,장윤정, 김재윤, 홍형우, 홍은경, 심재훈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기타저자
- 강인욱
- 기타저자
- 곽진석
- 기타저자
- 이평래
- 기타저자
- 이건욱
- 기타저자
- 장윤정
- 기타저자
- 김재윤
- 기타저자
- 홍형우
- 기타저자
- 홍은경
- 기타저자
- 심재훈
- 기타저자
- 국립전주박물관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kjul:60191471
- 책소개
-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과 한반도
고고학의 목적은 물질문화를 통하여 과거 생활을 복원하고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즉, 고고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물질문화 자체의 분석을 기반으로 과거 정신문화를 복원하는 데에 있다. 이념 및 종교와 같은 정신문화 체계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바로 제사와 의례에 있다. 고고학이 주로 대상으로 하는 무덤도 궁극적으로는 사자를 위한 장송의례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의 주요한 연구대상에는 의례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대제사와 의례에 대한 문제의식은 이미 유라시아 고고학에서는 매우 일반화된 주제이다.
한국의 고고학은 유라시아 각지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필자들은 북방 유라시아 일대의 제사고고학과 관련한 자료를 소개하고 한국과 비교하기 위하여 국립전주박물관에서 기획한 강의를 묶어서 이 책으로 모았다. 부안 죽막동에서 시작된 한국의 제사고고학이 이 총서를 계기로 유라시아 일대의 제사고고학에 관심을 기울이며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나가기를 기대한다.
MARC
008180712s2018 ulka b 000c kor■020 ▼a9788962463514 ▼c\20000
■035 ▼a(KERIS)BIB000014849430
■090 ▼a910.025▼b국298부북
■110 ▼a국립전주박물관
■24510▼a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d국립전주박물관 [편].
■260 ▼a서울▼b주류성▼c2018.
■300 ▼a271 p.▼b삽화▼c27 cm.
■500 ▼a설명적 각주 수록
■500 ▼a공저자: 강인욱, 곽진석, 이평래, 이건욱,장윤정, 김재윤, 홍형우, 홍은경, 심재훈
■504 ▼a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7001 ▼a강인욱
■7001 ▼a곽진석
■7001 ▼a이평래
■7001 ▼a이건욱
■7001 ▼a장윤정
■7001 ▼a김재윤
■7001 ▼a홍형우
■7001 ▼a홍은경
■7001 ▼a심재훈
■710 ▼a국립전주박물관
■9501 ▼b20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התיקיה שלי
- Reference Materials for Thesis Writing
-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Ethics
- Job-Related Books
![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 국립전주박물관 [편].](/Sponge/Images/bookDefaults/MMbookdefaultsmall.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