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낙랑고고학개론
낙랑고고학개론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471921 : \40000
- 청구기호
- 902.5 중62나낙
- 단체저자
- 중앙문화재연구원
- 서명/저자
- 낙랑고고학개론 /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 발행사항
- 과천 : 진인진, 2015
- 형태사항
- 440 p. : 천연색 ; 26 cm.
- 총서명
-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 18
- 주기사항
- 설명적 각주 수록
- 주기사항
- 지은이: 정인성, 박대재, 한수진, 안경숙, 김새봄, 오영찬, 주경미, 심수연, 홍주희, 주홍규, 정치영, 다케스에 준이치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405-440
- 일반주제명
- 고고학[考古學]
- 기타저자
- 정인성
- 기타저자
- 박대재
- 기타저자
- 한수진
- 기타저자
- 안경숙
- 기타저자
- 김새봄
- 기타저자
- 오영찬
- 기타저자
- 주경미
- 기타저자
- 심수연
- 기타저자
- 홍주희
- 기타저자
- 정치영
- 기타저자
- Takesue, Junichi
- 기타저자
- 다케스에 준이치
- 기타저자
- 武末順一
- 기타서명
- 고고학개론
- 원문정보
- url
- 가격
- 40000
- Control Number
- kjul:60176936
- 책소개
-
낙랑은 우리나라 고대국가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한반도 북부가 고대 중국의 식민지였음을 강조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외면을 받았으며, 해방 이후에는 물리적인 접근성의 한계가 더해져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2000년 이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낙랑관련 자료의 일부가 소개되고, 도쿄대학에 소장 중이던 미공개 낙랑관련 자료가 국내학계에 소개되면서 낙랑의 물질문화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아지게 되고, 한반도 중남부 지역과 낙랑의 연관성을 드러내는 증거들이 보고되었고, 낙랑 고고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문 후속세대에게 낙랑 고고학의 기본사항을 소개할 개론서가 부재한 현실을 타개 하기 위해 낙랑관련 제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 연구자들의 논고를 집성한 것이 『낙랑고고학 개론』입니다.
MARC
008160115s2015 ggka b 000c kor■020 ▼a9788963471921▼c\40000
■035 ▼a(KERIS)BIB000013877034
■090 ▼a902.5▼b중62나낙
■110 ▼a중앙문화재연구원
■24510▼a낙랑고고학개론▼d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260 ▼a과천▼b진인진▼c2015
■300 ▼a440 p. ▼b천연색▼c26 cm.
■49000▼a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v18
■500 ▼a설명적 각주 수록
■500 ▼a지은이: 정인성, 박대재, 한수진, 안경숙, 김새봄, 오영찬, 주경미, 심수연, 홍주희, 주홍규, 정치영, 다케스에 준이치
■504 ▼a참고문헌: p. 405-440
■650 7▼a고고학[考古學]
■7001 ▼a정인성
■7001 ▼a박대재
■7001 ▼a한수진
■7001 ▼a안경숙
■7001 ▼a김새봄
■7001 ▼a오영찬
■7001 ▼a주경미
■7001 ▼a심수연
■7001 ▼a홍주희
■7001 ▼a정치영
■7001 ▼aTakesue, Junichi
■7001 ▼a다케스에 준이치
■7001 ▼a武末順一
■740 2▼a고고학개론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877034
■9500 ▼b40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高级搜索信息
- 预订
- 不存在
- 我的文件夹
- Reference Materials for Thesis Writing
-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Ethics
- Job-Related 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