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韓國)판소리·古典文學硏究
(韓國)판소리·古典文學硏究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청구기호
 - 679.4 새884파
 
- 서명/저자
 - (韓國)판소리·古典文學硏究 / 새터 姜漢永敎授 古稀紀念論文集 刊行委員會 編.
 
- 발행사항
 - 서울 : 亞細亞文化社, 1983.
 
- 형태사항
 - 806 p. : 肖像 ; 23 cm.
 
- 기타저자
 - 강한영
 
- 기타저자
 - 이태우
 
- 기타저자
 - 윤용식
 
- 기타저자
 - 서종문
 
- 기타저자
 - 이규호
 
- 기타저자
 - 이원수
 
- 기타저자
 - 정병헌
 
- 기타저자
 - 이동근
 
- 기타저자
 - 이동애
 
- 기타저자
 - 강용권
 
- 기타저자
 - 이태극
 
- 기타저자
 - 임헌도
 
- 기타저자
 - 허영자
 
- 기타저자
 - 양태순
 
- 기타저자
 - 성기옥
 
- 기타저자
 - 정상균
 
- 기타저자
 - 박준규
 
- 기타저자
 - 임동권
 
- 기타저자
 - 임기중
 
- 기타저자
 - 이수봉
 
- 기타저자
 - 김균태
 
- 기타저자
 - 김대숙
 
- 기타저자
 - 이동하
 
- 기타저자
 - 이석래
 
- 기타저자
 - 이경선
 
- 기타저자
 - 한영환
 
- 기타저자
 - 이문규
 
- 기타저자
 - 김혜숙
 
- 기타저자
 - 이경우
 
- 기타저자
 - 조태영
 
- 기타저자
 - 김명호
 
- 기타저자
 - 박기석
 
- 기타저자
 - 이경수
 
- 기타저자
 - 김진영
 
- 기타저자
 - 권영돈
 
- 기타저자
 - 김성기
 
- 기타저자
 - 이강로
 
- 기타저자
 - 김일렬
 
- 기타서명
 - 고전문학
 
- 기타서명
 - 판소리 이제분석
 
- 기타서명
 - 신재효 춘향가(남창)와 이해조 옥중화와의 비교연구
 
- 기타서명
 - 신재효론
 
- 기타서명
 - 판소리 삽입가요의 정착가정
 
- 기타서명
 - 판소리 허두가의 성격과 기능
 
- 기타서명
 - 판소리 사설의 형성과 장단에 관한 소고
 
- 기타서명
 - 판소리 전승에 대한 관견
 
- 기타서명
 - 나의 판소리 수업기
 
- 기타서명
 - 박봉술 창본 적벽가
 
- 기타서명
 - 한산도가의 작자에 대한 견해
 
- 기타서명
 - 시조문학의 현대적 인식
 
- 기타서명
 - 기녀시조의 멋
 
- 기타서명
 - 내용구조의 기본원리와 그 변화의 양상
 
- 기타서명
 - 용비어천가의 구조와 서사성
 
- 기타서명
 - 혜성가·원가연구
 
- 기타서명
 - 월령체농가에 미친 중국문화의 영향
 
- 기타서명
 - 한문화의 일본전파
 
- 기타서명
 - 천부인에 대하여
 
- 기타서명
 - 충북의 호담연구
 
- 기타서명
 - 산유화가 연구
 
- 기타서명
 - 아낭형전설연구
 
- 기타서명
 - 삼국유사 소재의 불교설화에 대한 일고찰
 
- 기타서명
 - 소화의 파생과 우화
 
- 기타서명
 - 정향전소고
 
- 기타서명
 - 전등신화·금오신화·가비자의 비eu찰
 
- 기타서명
 - 허균작 '주흘옹몽기' '몽기'의 소설적 성격 검토
 
- 기타서명
 - 傳·書事(記事)·野談의 대비적 고찰
 
- 기타서명
 - 문집소재 '傳' 형식의 발전에 관하여
 
- 기타서명
 - 신선전에 대하여
 
- 기타서명
 - 양반전의 형성배경과 서술구조
 
- 기타서명
 - 위항예술인의 형상화와 정래교의 '傳'
 
- 기타서명
 - 이규보 시의 제재와 특성
 
- 기타서명
 - 예산농은 최해연구
 
- 기타서명
 - 개화기 한시의 시사적 성격
 
- 기타서명
 - 글자밭에서 주은 이삭
 
- 기타서명
 - 신소설 해안의 개작 양상
 
- 가격
 - 16000
 
- Control Number
 - kjul:60171995
 
MARC
008141216s1983 ulka 000c kor■035 ▼a(KERIS)BIB000002060737
■090 ▼a679.4▼b새884파
■110 ▼a새터 강한영교수 고희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4520▼a(韓國)판소리·古典文學硏究▼d새터 姜漢永敎授 古稀紀念論文集 刊行委員會 編.
■260 ▼a서울▼b亞細亞文化社▼c1983.
■300 ▼a806 p.▼b肖像▼c23 cm.
■7001 ▼a강한영
■7001 ▼a이태우
■7001 ▼a윤용식
■7001 ▼a서종문
■7001 ▼a이규호
■7001 ▼a이원수
■7001 ▼a정병헌
■7001 ▼a이동근
■7001 ▼a이동애
■7001 ▼a강용권
■7001 ▼a이태극
■7001 ▼a임헌도
■7001 ▼a허영자
■7001 ▼a양태순
■7001 ▼a성기옥
■7001 ▼a정상균
■7001 ▼a박준규
■7001 ▼a임동권
■7001 ▼a임기중
■7001 ▼a이수봉
■7001 ▼a김균태
■7001 ▼a김대숙
■7001 ▼a이동하
■7001 ▼a이석래
■7001 ▼a이경선
■7001 ▼a한영환
■7001 ▼a이문규
■7001 ▼a김혜숙
■7001 ▼a이경우
■7001 ▼a조태영
■7001 ▼a김명호
■7001 ▼a박기석
■7001 ▼a이경수
■7001 ▼a김진영
■7001 ▼a권영돈
■7001 ▼a김성기
■7001 ▼a이강로
■7001 ▼a김일렬
■740 2▼a고전문학
■740 2▼a판소리 이제분석
■740 2▼a신재효 춘향가(남창)와 이해조 옥중화와의 비교연구
■740 2▼a신재효론
■740 2▼a판소리 삽입가요의 정착가정
■740 2▼a판소리 허두가의 성격과 기능
■740 2▼a판소리 사설의 형성과 장단에 관한 소고
■740 2▼a판소리 전승에 대한 관견
■740 2▼a나의 판소리 수업기
■740 2▼a박봉술 창본 적벽가
■740 2▼a한산도가의 작자에 대한 견해
■740 2▼a시조문학의 현대적 인식
■740 2▼a기녀시조의 멋
■740 2▼a내용구조의 기본원리와 그 변화의 양상
■740 2▼a용비어천가의 구조와 서사성
■740 2▼a혜성가·원가연구
■740 2▼a월령체농가에 미친 중국문화의 영향
■740 2▼a한문화의 일본전파
■740 2▼a천부인에 대하여
■740 2▼a충북의 호담연구
■740 2▼a산유화가 연구
■740 2▼a아낭형전설연구
■740 2▼a삼국유사 소재의 불교설화에 대한 일고찰
■740 2▼a소화의 파생과 우화
■740 2▼a정향전소고
■740 2▼a전등신화·금오신화·가비자의 비eu찰
■740 2▼a허균작 '주흘옹몽기' '몽기'의 소설적 성격 검토
■740 2▼a傳·書事(記事)·野談의 대비적 고찰
■740 2▼a문집소재 '傳' 형식의 발전에 관하여
■740 2▼a신선전에 대하여
■740 2▼a양반전의 형성배경과 서술구조
■740 2▼a위항예술인의 형상화와 정래교의 '傳'
■740 2▼a이규보 시의 제재와 특성
■740 2▼a예산농은 최해연구
■740 2▼a개화기 한시의 시사적 성격
■740 2▼a글자밭에서 주은 이삭
■740 2▼a신소설 해안의 개작 양상
■9500 ▼b16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ไม่อยู่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 Reference Materials for Thesis Writing
 -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Ethics
 - Job-Related 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