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창덕궁 깊이 읽기
창덕궁 깊이 읽기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7350123 : \28000
- 청구기호
- 611 김25차
- 서명/저자
- 창덕궁 깊이 읽기 / 김동욱 , 유홍준 외 지음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 발행사항
- 파주 : 글항아리, 2012.
- 형태사항
- 539 p. : 일부채색삽도, 초상 ; 23 cm.
- 총서명
- 왕실문화 기획총서 ; 3.
- 주기사항
- 공지은이: 박정혜, 황정연, 박상진, 최종희, 김영운, 권선정, 양정석, 박수희, 서영희.
- 서지주기
-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p. 528-537.
- 서지주기
- 주: p. 508-527.
- 기타저자
- 김동욱.
- 기타저자
- 박정혜.
- 기타저자
- 황정연.
- 기타저자
- 유홍준.
- 기타저자
- 박상진.
- 기타저자
- 최종희.
- 기타저자
- 김영운.
- 기타저자
- 권선정.
- 기타저자
- 양정석.
- 기타저자
- 박수희.
- 기타저자
- 서영희.
- 기타저자
- 국립고궁박물관.
- 원문정보
- url
- 가격
- 28000
- Control Number
- kjul:60162398
- 책소개
-
500년 조선의 역사가 담긴 창덕궁의 다양한 면모를 살피다!
국립고궁박물관의「왕실문화 기획 총서」제3권『창덕궁 깊이 읽기』. 각계 11명의 전문가가 2011년 국립고궁박물관의 ‘왕실문화 심층탐구’ 교양강좌에서 강의한 내용을 담아낸 책이다. 파란만장한 창덕궁의 역사부터 건축과 조경, 회화와 공예, 그리고 음악과 춤, 궁궐의 풍수와 나무들의 식생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창덕궁의 역사와 실존을 읽어냈다. 본문은 총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왕조 5백 년의 건축기법을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창덕궁의 건축적 특성과 아름답고 그윽한 정취로 비원이라 불리는 창덕궁의 후원을 구조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풍수를 통해 창덕궁을 새로운 차원에서 조명함으로써 우리 선조들이 궁궐에 담아놓은 자연의식을 읽어낸다. 마지막 장에서는 대한제국 황실의 마지막 모습을 간직했던 창덕궁의 근대시기 모습을 영친왕과 덕혜옹주라는 창을 통해 되돌아본다. 조선왕조의 혼이 담긴 창덕궁의 다양한 면모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조선왕조 궁궐이 지녔던 조선 최고의 문화와 예술의 특성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MARC
008120921s2012 ggkac 000c kor■020 ▼a9788967350123▼c\28000
■035 ▼a(KERIS)BIB000012910285
■090 ▼a611▼b김25차
■24500▼a창덕궁 깊이 읽기▼d김동욱▼e유홍준 외 지음 ▼e국립고궁박물관 엮음.
■260 ▼a파주▼b글항아리▼c2012.
■300 ▼a539 p. ▼b일부채색삽도, 초상▼c23 cm.
■44000▼a왕실문화 기획총서 ▼v3.
■500 ▼a공지은이: 박정혜, 황정연, 박상진, 최종희, 김영운, 권선정, 양정석, 박수희, 서영희.
■504 ▼a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p. 528-537.
■504 ▼a주: p. 508-527.
■653 ▼a한국사▼a조선사▼a조선시대▼a왕실문화▼a조선왕조▼a궁궐▼a창덕궁
■7001 ▼a김동욱.
■7001 ▼a박정혜.
■7001 ▼a황정연.
■7001 ▼a유홍준.
■7001 ▼a박상진.
■7001 ▼a최종희.
■7001 ▼a김영운.
■7001 ▼a권선정.
■7001 ▼a양정석.
■7001 ▼a박수희.
■7001 ▼a서영희.
■710 ▼a국립고궁박물관.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2910285
■9500 ▼b28000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ไม่อยู่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 Reference Materials for Thesis Writing
-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Ethics
- Job-Related 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