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 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정책적 편입과 배제
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 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정책적 편입과 배제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8902988 93350 : \27000
- 청구기호
- 331.5 원56다다
- 저자명
- 원숙연
- 서명/저자
- 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 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정책적 편입과 배제 / 원숙연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 형태사항
- 368 p. : 삽화 ; 23 cm.
- 총서명
- 이화학술총서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36-365) 및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다문화 주의[多文化主義]
- 일반주제명
- 문화 정책[文化政策]
- 기타저자
- 원숙연
- 원문정보
- url
- 가격
- 27000
- Control Number
- kjul:60250999
- 책소개
-
이주 외국인 200만 명 시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문화적 도전’의 정치성을 심층 분석하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인종적 다양성과 이에 대응하는 정책의 다층성을 분석한 학술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오랜 기간 당연시해왔던 순혈주의적 전통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인종적 다양성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사회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공론의 장이 만들어지기도 전에 수많은 이주 외국인을 받아들여야 했고, 정부에서는 전대미문의 정책 이슈에 대응해야만 하는 ‘다문화적 도전’을 경험하고 있다. 인종적 다양성은 단순히 인구 통계적 변수의 추가를 넘어 집단 간 갈등이 작동하는 ‘정치의 장’이다. 정체성을 인정받으려는 집단과 정체성 인정에 소극적인 집단 사이의 정치 역학 속에서 인종주의나 제노포비아와 같은 편향적 모습이 드러난다. 이 책은 인종적 다양성과 이주 외국인 정책의 저변에 존재하는 이러한 편향성과 정치성을 논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현실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집단 갈등을 다수 집단 대 소수 집단의 이분법에 가두지 않고 ‘다수 집단 대 다수 집단’, ‘소수 집단 대 소수 집단’으로까지 확장해서 분석한다. 유권자이면서 정책 비용의 부담 집단인 일반 국민, 정책 집행 과정의 중요 행위자인 공무원, 그리고 주요 정책의 대상 집단인 이주 외국인 모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그 정치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특히 도구적 효용과 정체성에 기초해 이주 외국인 집단을 차별적으로 편입하고 배제하는 정책의 다층성을 논의의 중심에 두고 살펴본다. 그리고 기존 연구가 다문화 사회나 이주 외국인 정책을 둘러싼 집단 간 차이에만 집중했다면 이 책은 집단 간 차이는 물론 집단 내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 모두를 밝히는 논의를 추가함으로써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범위의 확장을 통해 다문화 사회와 이주 외국인 정책을 둘러싼 갈등과 이해관계의 충돌에 대해 다양한 입장과 시선에서 살펴보고 있는 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인종 관련 정책과 그것이 내포하는 정치성을 분석한 이 책은 다문화 사회와 이주 외국인 정책 연구의 이론적 ㆍ 실천적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현실적인 정책 선택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MARC
008200116s2019 ulka b 001c kor■020 ▼a9791158902988 ▼g93350▼c\27000
■035 ▼a(KERIS)BIB000015033976
■090 ▼a331.5▼b원56다다
■1001 ▼a원숙연
■24510▼a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b인종적 다양성을 둘러싼 정책적 편입과 배제▼d원숙연 지음.
■260 ▼a서울▼b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c2019.
■300 ▼a368 p. ▼b삽화▼c23 cm.
■44000▼a이화학술총서
■504 ▼a참고문헌(p. 336-365) 및 색인 수록
■650 7▼a다문화 주의[多文化主義]
■650 7▼a문화 정책[文化政策]
■7001 ▼a원숙연▼e저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5033976
■9500 ▼b27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