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4. - [비디오 녹화자료] : 천왕메기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4. - [비디오 녹화자료] : 천왕메기
Detailed Information
- 자료유형
- 비도서자료
- 청구기호
- 600.15 대16대
- 단체저자
- 대구광역시
- 서명/저자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4. - [비디오 녹화자료] : 천왕메기 / 대구광역시.
- 발행사항
- 대구 : 대구광역시, 2013.
- 형태사항
- 디지털비디오디스크 1매 : 유성, 천연색 ; 4 3/4 in.
- 주기사항
- 문화재 지정일: 1989년 6월 15일
- 주기사항
- 레이블표제임
- 초록/해제
- 요약매년 정월 대보름, 대구 비산동에서도 신을 위한 제를 올리고, 농악을 즐겻는데 따로 오락이 없었던 그 시절, 천왕메기는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였으며 동시에 대동화합을 담아낸 신명나는 축제였다. 그 기원과 희망의 울림을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김수기 예능 보유자를 통해 만나본다.
- 시스템사항주기
- DVD
- 기타서명
-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 가격
- 비매품
- Control Number
- kjul:60170618
MARC
008140919s2013 tgk063 cvlkorDG■035 ▼a(KERIS)BIB000013390562
■090 ▼a600.15▼b대16대
■110 ▼a대구광역시
■24510▼a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4.▼h[비디오 녹화자료] ▼b천왕메기▼d대구광역시.
■260 ▼a대구▼b대구광역시▼c2013.
■300 ▼a디지털비디오디스크 1매 ▼b유성, 천연색▼c4 3/4 in.
■306 ▼a010300
■500 ▼a문화재 지정일: 1989년 6월 15일
■500 ▼a레이블표제임
■520 ▼a매년 정월 대보름, 대구 비산동에서도 신을 위한 제를 올리고, 농악을 즐겻는데 따로 오락이 없었던 그 시절, 천왕메기는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였으며 동시에 대동화합을 담아낸 신명나는 축제였다. 그 기원과 희망의 울림을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김수기 예능 보유자를 통해 만나본다.
■538 ▼aDVD
■653 ▼a농악▼a무형문화재
■740 2▼a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9501 ▼a비매품
Preview
Export
ChatGPT Discussion
AI Recommended Related Books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Reference Materials for Thesis Writing
-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Ethics
- Job-Related Books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4. - [비디오 녹화자료] : 천왕메기 / 대구광역시.](/Sponge/Images/bookDefaults/NNbookdefaultsmall.png)

